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연지동 한국기독교회관에서 북한전략센터가 주최한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미디어의 역할' 세미나에서 동아대학교 강동완 교수가 중국산 '노트텔'(EVD 플레이어)을 들고 '2013년 북한주민의 미디어 수용 실태와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강 교수는 중국에서 생산된 EVD 플레이어가 2005년부터 북한지역에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유통됐다며 "EVD의 장점은 CD, DVD 재생은 물론 USB까지 바로 재생할 수 있고 게임을 할
북한에 중국산 휴대용 TV가 보급되면서 북한 주민들 사이에 한국 드라마와 영화와 같은 한류 바람이 불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어제(22일) 서울에서 ‘사회주의 체제 전환과 미디어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열린 학술 토론회에서 이 같은 주장을 편 한국의 동아대학교 강동완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함께 자세한 내용을 들어보겠습니다.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인터뷰: 강동완 동아대 교수] "북한 내 한류 확산...중국산 휴대용TV 단속 어려워"
문) 먼저 북한에서 확산되고 있다는 중국산 휴대용 TV라는 게 어떤 겁니까?
문) 북한 주민들이 DVD 플레이어 등으로 한국 드라마나 영화 등을 남몰래 본다는 이야기들은 종종 접할 수 있었는데요, 이것과 다른 점은?
문) EVD 플레이어가 어느 정도나 보급이 됐는지 그리고 한국 드라마나 영화는 어떻게 북한으로 유통이 되는지 궁금한데요?
문) EVD 플레이어 뿐 아니라 스마트 손전화도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고 하던데, 어느 정도인지요?
문) 현재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 한국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나 광범위하게 퍼져 있나요?
문) 북한 당국도 이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다고 봐야 하나요? 한류 문화의 침투를 막기 위해 북한 당국도 이런 저런 대책을 마련했을 텐데요?
문) 이번에 이 같은 북한 사회 내부의 최근 동향을 어떻게 조사하셨나요?
지금까지 강동완 동아대 교수와 함께 최근 북한에서 EVD 플레이어의 보급으로 일고 있는 한류 바람의 실태를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