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미한일 3국 협력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공화당의 영 김 하원의원은 한국과 일본이 집단 안보 위협에 맞서기 위해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의회에서는 한일 관계를 개선하고 미한일 3국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상훈 / 영상편집: 김정규)
한국 민간단체들이 한국전 정전협정 68주년을 맞아 전후 국군포로와 민간인 납북자 송환을 북한에 촉구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유엔에 보냈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가 확인한 전후 납북 억류자는 총 516명입니다.
미국 공화당의 영 김 하원의원은 한국과 일본이 집단안보 위협에 맞서기 위해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 의회에서는 한-일 관계를 개선하고 미-한-일 3국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가 2022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을 의결했습니다. 위원회는 중국의 점증하는 군사력에 대응하기 위한 ‘태평양 억지 구상’의 이행을 강조하며 7억 달러 이상의 추가 예산을 배정했습니다.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 190여 명이 북한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들의 참상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발의했습니다. 북한의 경우 최대 350만 명이 굶주리는 빈곤의 땅이라고 비난했습니다.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들은 미 하원에서 미-북 이산가족 상봉을 돕는 법안과 결의안이 통과된 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하면서도, 상봉이 실제 이뤄지려면 넘어야 할 문턱이 높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산가족 상봉은 물론 미국과의 대화도 꺼리고 있는 북한의 미온적 태도를 주된 문제로 지적했습니다
최근 미국 정부는 북한 등에 대한 외교정책에서 금융 기관과 거래에 대한 경제적 제재 활용을 높이고 있는 추세라고 미국 의회조사국이 밝혔습니다. 금융 제재를 통한 미국의 지렛대를 유지하기 위해 국제금융 통신망 관련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을 의회에 제안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이상훈)
미국 정부는 최근 북한 등에 대한 외교정책에서 금융 기관과 거래에 대한 경제적 제재 활용을 높이고 있는 추세라고, 미 의회조사국이 밝혔습니다. 금융제재를 통한 미국의 지렛대를 유지하기 위해 국제 금융통신망 관련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을 의회에 제안했습니다.
미국 하원에서 20일 미-북 이산가족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채택됐습니다. 민주당 캐런 배스 의원과 한국계인 공화당 영 김 의원이 공동 발의한 이 결의안은 앞서 지난 4월 말 소관 상임위인 외교위원회를 만장일치로 통과했었습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지 6개월이 지난 가운데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가안보 문제를 맡았던 주요 인사들도 최근 대부분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워싱턴의 보수 성향 싱크탱크나 대형 컨설팅업체에 합류한 인사들이 많습니다.
미국 동북부 펜실베이니아 주 연방 상원의원들이 한국전 참전 용사들에게 ‘평화의 사도 메달’(Korean Ambassador for Peace Medal)을 수여하는 한국 정부 노력에 동참했습니다.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확장 억지는 보다 넓은 범위의 수단에 의존하고 있다고, 미국 의회조사국이 밝혔습니다. 한국 정치권 일각에서 미국의 핵 억지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자체 핵무장론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확장 억지는 단순히 미국의 비전략적 핵무기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확장 억지가 광범위한 수단에 의존하고 있다고, 미국 의회조사국이 밝혔습니다. 비전략 핵무기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전략폭격기를 투입하거나 확장억지대화를 추진한 사례도 있다는 겁니다.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주장하는 미국 내 민간단체 주도의 연례 의회 로비활동이 이번 한 주 간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대북 인도 지원 개선과 관련된 법안에 대한 의원들의 지지를 촉구하고 있지만, 지지층을 넓히는 데 한계는 여전합니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한국전쟁 종전선언이나 북한과의 평화협정 체결 문제는 바로 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대북 전략의 일환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미국 민주당의 아미 베라 하원의원이 밝혔습니다. 또 북한이 경제난 등 심각한 내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국에 관여와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강양우)
미국은 북한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외교’로 대화를 재개할 기회가 있다고, 민주당 아미 베라 하원의원이 밝혔습니다. 하원 외교위원회 아태 소위원장인 베라 의원은 13일 VOA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히면서도, 북한이 먼저 미국에 백신 지원을 요청해야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과 한국 국회의원들 간 정기적인 소통과 관계 강화를 위한 ‘미-한 의원 교류’ 모임이 다시 활성화됐습니다. 이로써 미 의회 내 한반도 관련 모임은 3개로 늘었습니다.
매년 7월 11일은 유엔이 정한 ‘세계 인구의 날’입니다. 북한도 전 세계 여러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갈수록 심화되는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유엔은 `세계 인구의 날'의 중심 주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이 전 세계 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선정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으로 인한 전 세계 사망자가 4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전염력이 높은 델타 변이가 급속히 확산하면서 추가 대유행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북한과 이란의 탄도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미국 본토를 방어할 수 있는 역량 개발 속도가 느리다고 마이크 터너 미국 하원 전략군 소위원회 공화당 간사가 지적했습니다. 터너 의원은 동부지역 요격 미사일 배치 계획을 계속 진행할 것을 바이든 행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강양우)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