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미-북 관계와 비핵화 협상을 좌우할 핵심 요소로 2차 미-북 정상회담, 미-한 연합 훈련의 향방, 중국의 역할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년사를 놓고 미국의 전직 관리들은 엇갈린 반응을 내놨습니다.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밝힌 것은 긍정적이라면서 미국에 비핵화가 아닌 ‘핵동결’을 제시했다고 풀이했습니다.
미국의 전직 관리들은 2019년 새해에도 ‘트럼프 식 대북 관여 정책’은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교착 상태가 계속될 경우 ‘화염과 분노’로 표현되던 위기가 다시 찾아올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VOA 신년 기획, 첫 번째 순서로 올해 미-북 관계와 비핵화 협상을 전망해봤습니다.
전례없는 미-북 정상회담 개최 등 올 한 해 미·북 관계는 숨가쁘게 돌아갔는데요. 한반도 긴장을 완화시킨 것은 고무적이지만 북한의 실질적 조치가 없어 미래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다는 전직 관리들의 평가입니다.
미국과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전직 군 관리와 전문가들은 ‘증액 요구’가 타당하다는 쪽에 무게를 뒀습니다.
미국 언론들이 북한 관련 여러 움직임들을 올 한해 가장 주목 받은 뉴스에 포함시켰습니다. 미국의 관여 정책이 올해 초까지 이어진 한반도 긴장 모드에 변화를 줬다며 북한의 무기 실험 중단을 큰 성과 가운데 하나로 소개했습니다.
대선후보 시절부터 한국 등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해 온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트위터를 통해 또다시 동맹국의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거론했습니다.
미국이 북한과의 대화 국면 속에서도 대북 제재 압박을 강화하면서 대북 구호 활동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인도주의 단체들의 불만이 이어져왔습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정리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진전을 이루고 있으며, 김정은 위원장과의 다음 정상회담을 고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주요 언론들은 ‘비핵화’를 미국의 핵 위협 제거와 연계시킨 북한 조선중앙통신의 담화 내용을 비중 있게 보도했습니다.
북한의 '한반도 비핵화' 주장에 대해, 미국의 전직 당국자들은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도를 분명히 한 것이란 분석입니다. 또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미국에 설득한 한국 정부의 해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미국의 전직 관리들은 인도적 지원을 위한 미국인의 북한 여행 허용을 시사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발언을 미·북 간 교착 국면을 풀어보려는 시도로 풀이했습니다.
북 핵 협상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지금과 같은 답보상태가 이어지면, 미국과 북한 어느 쪽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반도 전문가들이 지적했습니다. 돌파구를 마련하지 않으면, 지난해와 같은 긴장이 촉발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비핵화 노선 변경 가능성을 시사한 북한 외무성 담화 내용은 미-북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는 또 다른 신호이자, 초조한 북한의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고 미 전직 관리들이 진단했습니다.
북한이 미국과의 실무협상을 거부하는 것은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이 없음을 보여준다고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지적했습니다.
북한 비핵화의 성공 여부는 실무 협상에 달려 있다고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밝혔습니다. 또 북한과의 협상에 인권 문제를 포함해야 한다면서, 2년 넘게 공석인 대북인권특사 임명 필요성을 지적했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도원 / 영상편집: 조명수)
제재는 수십 년간 이를 견뎌온 북한 지도부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 미국 대사가 VOA와의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미국이 북한 인권 상황과 관련해 추가 제재를 가한 것은 비핵화 전까지 압박을 유지하겠다는 미 행정부의 의지를 나타낸 것이라고 미 전직 관리들이 풀이했습니다.
유엔 안보리에서 연례 북한인권 논의가 무산된 건, 회의 소집에 필요한 물리적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이지, 미국의 ‘인권 압박’이 느슨해졌음을 뜻하는 게 아니라고 인권 전문가들이 지적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내년도 해외 방문 일정에 북한이 포함돼 있지 않다고 교황청이 확인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