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agrees to open Punggye-ri nuclear test site, Sohae missile engine site to international inspectors, Pompeo says; experts say this may be move to get more from US
미국의 전문가들은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중간선거 이후에 열려도 지금의 대북 접근법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비핵화할 준비가 됐다면 이제는 ‘기술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차관보가 VOA와의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지난 여름 기록적인 가뭄과 홍수 여파로 취약 계층에 놓인 북한의 어린이 상황이 더 나빠질 것이라고 유엔아동기금(UNICEF)이 밝혔습니다.
미국의 전문가들은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의 4차 방북에서 비핵화와 관련해 보다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길 기대했다며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이들은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사찰을 허용한 것은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한 ‘위협행동’은 줄어든 반면, ‘위협능력’은 여전하다고 워싱턴의 보수 성향 민간단체인 헤리티지재단이 밝혔습니다. 북한의 ‘위협 행동’ 패턴은 줄었지만, 실질적 비핵화 조치가 부족해 그 역량은 변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미국의 전직 관리들은 폼페오 국무장관의 4차 방북에서 핵심은 영변 핵 시설 폐기에 관한 북한의 요구를 수용할지 여부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조치에 따라 미국의 독자 제재를 일부 완화하는 것이 실용적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견해도 밝혔습니다.
지난해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지난 8개월 동안 모두 13차례의 여진이 발생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연구에 공동 참여한 김원영 컬럼비아대 교수는 ‘핵 없는 세계’를 위해서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의 효력이 발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인 10명 가운데 8명은 북한의 비핵화 시 미국의 상응 조치로 북한과의 수교를 꼽았습니다. 주한미군 주둔과 북한의 한국 공격 시, 미군의 방어에 대한 지지율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의 비핵화에 시간표를 설정하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단계적 조치’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유엔총회 참석 차 뉴욕을 방문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유엔아동기금, 유니세프 총재와 면담했습니다. 북한의 인도적 상황 개선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한과 협상에 나섰던 미국의 전직 관리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그 길의 끝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견해를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 비핵화에 시간표를 설정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매우 가까운 장래에 만날 것이라고 거듭 밝혔습니다. 폼페오 국무장관은 정상회담이 10월에 열릴 수도 있지만,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미국과 남북한 전현직 당국자들이 지난주 스위스에서 접촉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한 측은 이 자리에서 미국의 핵우산을 대표적인 적대시 정책으로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정권 생존에 필수적이라고 여기는 핵무기를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나 해스펠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밝혔습니다.
24일 워싱턴 DC 등 전 세계 22개 도시에서 탈북자 보호를 촉구하는 행사가 동시에 열렸습니다. 참가자들은 중국의 탈북자 강제 북송 정책을 규탄하며 북 핵 문제와 함께 인권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호소했습니다.
유엔 총회 기간에 이뤄지는 미-한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2차 미북 정상회담 성사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조셉 윤 전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말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는 완료 시한으로 설정된 2021년 1년까지 이뤄질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대화를 원하는 북한의 신호는 긍정적이며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도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아동 인권 사례로 비난 받아온 북한의 집단체조를 관람한 데 대해 미국의 인권전문가들은 엇갈린 반응을 보였습니다. 인권을 경시하는 태도로 비춰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남북 관계 개선과 신뢰 구축이 우선이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