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거듭 연말 시한을 강조하고 나선 것을 단순한 ‘수사’가 아닌 ‘실제 시한’으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전직 미국 당국자들이 분석했습니다. 위험을 감수한 북한의 도발 가능성도 전망됐습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조명수)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북한이 거듭 연말 시한을 강조하고 있는 데 대해, 실제로 미-북 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경고하는 것으로 풀이했습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의 지난달 대북 식량 지원 규모가 전달 대비 26% 가량 늘었습니다. 이 기구 아시아태평양 지부장은 지난달 방북해 태풍 ‘링링’ 피해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최근 북-중 관광 교류가 더욱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엔 대북제재에서 제외된 관관광을 통해 어려움을 타개하려 한다는 분석입니다.
미국이 스웨덴 실무협상에서 북한 측에 일부 제재 완화를 제안했다는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전직 관리가 밝혔습니다. 또 협상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언은 협상 재개를 위한 분위기 전환 차원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영상편집: 강양우)
평창 동계올림픽을 취재한 `뉴욕타임스’ 신문 스포츠 전문 기자 세스 버크만 씨가 ‘남북 여자하키 단일팀’의 에피소드를 담은 책을 펴냈습니다. 버크만 기자를 인터뷰했습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다시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기 위해 특유의 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북한의 태도는 ‘기회의 창’이 닫힌 듯한 인상을 준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세계동물보건기구가 북한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실태 공개를 촉구했습니다. 한반도 내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 공조가 시급하다며, 북한이 준수해야 할 지침도 제시했습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영상편집: 강양우)
세계동물보건기구(OIE)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 실태를 공식 보고할 것을 북한 당국에 촉구했습니다.
북한이 미국과는 정상 간 친분을 강조하며 대화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는 반면에 한국에는 막말을 쏟아내며 비난 수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북한에 동조적인 한국 내 여론 형성에 성공한 북한이 한국을 당연시하며 미북 협상에서 노골적으로 배제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북한 당국은 국제협력기구인 `글로벌 펀드’와의 최종 합의안에 신속히 서명해 결핵 치료 사업의 공백을 막아야 한다고, 이 기구 피터 샌즈 사무총장이 밝혔습니다.
내년에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강도가 높아지고, 전 세계 기업들은 엄청난 불확실성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비핵화 협상 성공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시기와 맞물려 북한이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감행한다면 한반도는 새로운 긴장 국면을 맞게 된다는 겁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지난해 북한의 ‘국적(nationality) 가치’가 최하위권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동의 자유’는 전체 조사 대상국 가운데 가장 낮았습니다.
내년에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강도가 높아지고, 전 세계 기업들은 엄청난 불확실성에 직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결렬로 끝난 미북 실무협상에 대해 언급을 하지 않고 있어 주목됩니다. 대북 셈법이 더욱 복잡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결렬로 끝난 미-북 실무 협상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어 주목됩니다. 대북 셈법이 더욱 복잡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북 실무협상이 합의 없이 끝나면서 북한 비핵화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 전직 관리들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부풀려진 것이 실패의 원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과거 북한과 직접 협상했던 미국의 전직 관리들은 북한이 미국 국내 정치 상황을 이용해 압박 수위를 올리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미국 등 46개국이 사이버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각국의 협력 체계를 통해 북한 등 적성 국가들의 사이버 공격과 범죄에 공동대응하는 겁니다. 안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영상취재·편집: 김선명)
미국을 비롯한 46개 나라가 사이버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각국의 협력 체계를 통해 북한 등 적성국들의 사이버 공격과 범죄에 공동 대응할 계획입니다.
더 보기